서울과 수도권 대중교통을 월 정액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"기후동행카드".
2025년 8월 현재, 하남시와 성남시까지 서비스가 확장되었습니다. 교통비를 아끼고 이동의 자유를 누릴수 있는 기후동행카드, 지금바로 서비스범위부터 활용법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.
기후동행카드 사용구간(2025년 8월 기준)
기후동행카드 사용 전 반드시 서비스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. 아래는 현재 기준 사용 가능한 노선 목록입니다.
구분 | 사용 가능 구간(요약) |
---|---|
지하철 | 1호선: 온수 ~ 도봉산 (금천구청 포함) 2호선~9호선: 전 구간 사용 가능 (단, 5호선은 하남 연장 구간 포함) 신림선·우이신설선: 전 구간 경의중앙선: 탄현 · 서울역 · 구리(요약 표기) 수인분당선: 청량리 ~ 오리 경강선: 판교 ~ 이매 경춘선: 청량리 ~ 신내 공항철도: 서울역 ~ 김포공항 (인천공항1·2 터미널은 하차만 가능) 김포골드라인·서해선: 전 구간 |
버스 |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/ 마을버스 전 노선(심야버스 포함) 사용 가능 단, 광역버스·타 시도 면허 버스는 사용 불가 |
공공자전거 | 따릉이(서울 공공자전거) 전 구간 사용 가능 |
사용 불가 항목 | 신분당선, 광역버스, 타 시도 면허 버스, 타 지역 지하철 전 구간 |
기후동행카드로 출퇴근뿐 아니라 주말 나들이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교통 혜택이 열렸습니다. 특히 수도권 주요 지하철·버스·공공자전거까지 연결돼, 교통비를 절약하며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 교통비 부담이 큰 시기에 합리적인 이동 수단을 찾는다면, 지금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서울 / 경기 / 하남 확대 적용 주요 내용
2025년 8월부터 하남시 전 구간 사용 가능
서울 5호선 연장 노선(미사역, 하남풍산역, 하남시청역, 하남검단산역)도 서비스에 포함되었습니다. 다만 이들 역사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며 승차는 불가합니다. 예컨대, 서울역 → 미사역 이동은 가능하지만 미사역 → 서울역은 사용되지 않습니다.
성남시도 사용 가능
성남시에서는 수인분당선 10개 역, 경강선 3개 역이 추가되었고, 기존 8호선(모란~남위례) 7개 역까지 포함해 총 약 20개 지하철역에서 이용 가능해졌습니다. 아울러 성남을 경유하는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11개 노선에서도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허용됩니다.
2025년 8월 확대 적용으로 하남·성남 등 수도권 동남권 지역의 서울 접근성이 개선되었고, 결과적으로 통근·통학 경로의 비용 효율성이 높아졌습니다. 출퇴근 패턴이 일정한 이용자라면 한 장으로 이동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
기후동행카드 신청하는 법(후불형 기준)
구분 | 상세 |
---|---|
발급 카드사 | 신한카드, 국민카드, 롯데카드, 비씨카드, NH농협카드, 삼성카드, 현대카드, 하나카드, 우리카드, IBK기업은행 (총 11곳) |
등록 필수 | 카드 발급 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&페이 사이트에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필요. 등록하지 않으면 무제한 혜택 미적용(전체 요금 청구). |
가입대상 | 누구나 가능(후불카드는 성인 대상). 청소년은 선불권 사용 권장. 청년 할인 대상: 만 19세 ~ 39세 (1984.01.01 ~ 2005.12.31 출생자). 중복 등록 불가: 1인당 실물카드 1장, 모바일카드 1장까지만 등록 가능. |
요금& 할인혜택 총정리
말일 일수 | 일반 부담한도 | 청년 할인 적용 후 |
---|---|---|
28일 | 58,000원 | 51,4요금60원 |
29일 | 60,000원 | 53,230원 |
30일 | 62,000원 | 55,000원 |
31일 | 64,000원 | 56,770원 |
따릉이 포함 시(예시)
말일 일수 | 일반 + 따릉이 | 청년 + 따릉이 |
---|---|---|
30일 | 65,000원 | 58,000원 |
참고: 따릉이 이용 횟수에 따라 추가 청구는 1,000원~5,000원 수준으로 제한되는 점을 유념하세요.
기후동행카드 이용시 주의사항
- 승·하차 시 반드시 태그(터치) 필수 — 하차 미태그 2회 누적 시 24시간 카드 사용 정지
- 월 1일 기준으로 미태그 내역 초기화
- 서울지역에서 승차 후 서비스 범위 외 지역에서 하차 시 별도 요금 부과 및 미태그 1회 누적 가능
- 하남 연장 구간은 승차 불가 / 서울 방향 하차만 가능
이런 분이라면 기후동행카드 꼭 쓰세요!
출퇴근에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직장인
서울 외곽(하남·성남 등) 거주자 중 서울 도심 이동이 잦은 분
교통비 절감이 필요한 대학생 및 구직자
따릉이를 자주 이용하는 서울 거주자 등에게 특히 유리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(Q&A)
Q1. 기후동행카드로 광역버스도 탈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광역버스 및 신분당선은 사용 불가합니다.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와 지하철 범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.
Q2. 하남에서 서울로 출근하는데 쓸 수 있나요?
A. 하남 5호선 구간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므로, 하남에서 승차해 서울로 이동하는 용도에는 제한이 있습니다. 반대로 서울에서 하남(미사역 등)으로 이동한 뒤 하차하는 형태는 적용됩니다.
Q3. 따릉이를 안 타면 더 싸게 이용할 수 있나요?
A. 네. 따릉이 이용을 포함하지 않으면 월 최대 64,000원 한도로 이용 가능합니다.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지 않는 분은 따릉이 미포함 요금제를 선택하세요.
Q4. 카드를 바꾸면 다시 등록해야 하나요?
A. 네. 새 카드 발급 시 반드시 티머니 재등록을 해야 혜택이 유지됩니다.
Q5. 청년 할인은 자동 적용되나요?
A. 티머니 사이트에서 생년월일 등록 시 자동 적용되며, 별도 증빙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.
기후동행카드로 얻을 수 있는 혜택
- 서울 + 경기 일부 지하철 무제한 이용 (월 최대 64,000원)
- 버스 + 따릉이까지 포함해 최대 이동 자유 확보
- 청년 할인으로 최대 11,000원 절약 가능
- 간편한 발급 & 등록(티머니 카드&페이)
대중교통 정액 혜택을 비교하면, 월 고정비 절감 효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청년·통근자 대상 할인 정보를 활용하면 연간 교통비 지출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.
따릉이·버스 병행 이용 패턴을 분석하면 내게 유리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